-
Node.JS 구동하기node.JS 2022. 2. 22. 17:32
Node.JS로 서버를 만드려면
먼저 Node.JS를 설치부터한다.
그 후 서버를 만들 폴더에 git init 입력.
그럼 프로젝트 패키지가 만들어진다.
그렇게 패키지를 만들면 라이브러리를 설치할 수 있는데, npm i express로
express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준다.
express 라이브러리는 Node.JS로 서버를 쉽게 만들 수 있게해주는 라이브러리이다.
그리고 폴더 내에 서버의 메인 자바스크립트 파일이 될 js파일 하나를 만든다.
보통 server.js 로 주로 명명한다.
이 파일이 스프링의 MVC패턴에서 컨트롤러에 대응하는 파일이라 보면 되겠다.
해당 파일에
요렇게 express 라이브러리에서 가져온 서버를 생성하는 함수를
express 변수에 할당하고,
함수를 실행해 app이라는 클라이언트와 통신할 수 있는 객체를 생성한다.
그리고 app 객체가 가진 listen 이라는 함수에 서버가 사용할 포트번호와
서버가 열리면 응답으로 실행할 로직을 담은 콜백 함수를 하나 인자로 넣는다.
이제 터미널에서 지금까지 만든 서버 폴더의 경로에 들어온 뒤
node server.js 를 입력하면 서버가 열리고 listen 함수의 인자로 넣은 콜백함수가 잘동한다.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주 사용되는 webpack plugins 정리. (0) 2022.11.07 webpack 내용 정리. (2) (0) 2022.10.17 webpack 내용 정리. (0) 2022.09.23 npm 명령어 정리 (0) 2022.09.22 get, post 통신 해보기 (0) 2022.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