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CDN 이란.
    면접 후기 2022. 9. 15. 09:20

    cdn은 프론트개발할 때 참 많이 쓰이는 기술인데,

     

    잘 이해하지못하고 무작정 써왔던 터라 면접 때 관련 질문이 나와도 제대로 대답하지 못해 스스로 너무 안타까웠습니다. 😥😥😥

     

    해당 기술에 대해 깊게까진 아니더라도 짧게 핵심만 정리해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CDN의 개념은 Contents Delivery Network의 약자로서 데이터의 용량이 큰 웹어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의 로드 속도를 줄일 수 있는 전송 방법입니다.

     

    로드 속도를 줄이는데는 cache 서버, 즉 PoP(Points of presence)를 활용한 물리적 거리 줄이기 방법이 사용됩니다.

     

    보통 cache는 컴퓨터의 기억장치의 부분 중 하나로 데이터나 값을 복사해놓는 임시 장소를 뜻합니다.

     

    이와 비슷하게 이 cache 서버는 origin 서버가 아니라 각 지역별로 설치된 분산 서버로서,

     

    특정 지역의 사용자가 origin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 시, 가장 가까운 cache 서버가 사용자에게 응답합니다.

     

     

    이렇게 생각해보니까 왜 유명한 웹개발 라이브러리들이 CDN을 사용하는지 이해가 되었는데요.

     

    특히 전세계적으로 유명하고 많은 개발자들이 활용하는 라이브러리인 jquery 등의 javascript 라이브러리 파일 또는, tailwind, bootstrap 같은 css 파일은 모든 국가, 지역을 대상으로 해당 파일을 빠르게 공유되어야하기 때문에 CDN을 사용하는 것이었습니다.

     

    꼭 위의 경우 뿐만 아니라 해상도가 큰 여러개의 이미지 파일이나, 동영상 스트리밍, 게임 등 컨텐츠를 안정적이고 빠르게 사용자에게 보여주어야할 때, CDN이 많이 사용된다고합니다.

     

     

    하지만 CDN이 불필요한 경우도 존재합니다.

     

    특정 origin 서버가 지역이나 국가 안에만 존재하고 해당 공간 안에서만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cache 서버의 이점이 없을뿐더러, 불필요한 자원 및 연결 지점이 늘어나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면접 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결산 및 회고.  (0) 2022.12.20
    크로스 브라우징 해결법.  (0) 2022.09.14
Designed by Tistory.